AP의 에어타임 페어니스(Airtime Fairness) 기능에 대하여
Airtime Fairness(에어타임 페어니스)는 다양한 속도와 성능을 가진 여러 기기들이 공평하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술입니다.
이 기술은 네트워크의 혼잡도를 줄이고 각 기기들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여 전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.
그러나 Airtime Fairness에도 장단점이 있습니다.
작동 원리:
데이터 전송 시간 기반 배분: 각 기기마다 동일한 시간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합니다.
속도가 느린 기기일지라도 제한된 시간 내에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, 빠른 기기들이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합니다.
속도가 느린 기기의 영향 최소화: 느린 기기들이 오래 네트워크 자원을 점유하지 않도록 하여, 빠른 기기들이 영향을 덜 받게 합니다.
이를 통해 네트워크 전체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.
혼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성능 최적화: 여러 기기가 동시에 연결된 혼잡한 환경에서, 기기 간 성능 차이를 고려해 각 기기의 전송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네트워크 혼잡도를 줄이고 안정성을 높입니다.
장점:
공평한 네트워크 자원 분배: Airtime Fairness는 각 기기가 네트워크를 독점하지 못하게 하여, 전체적인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으로 자원을 분배합니다.
빠른 기기의 성능 유지: 빠른 기기가 느린 기기로 인해 성능 저하를 겪지 않게 하여, 사용자의 체감 속도가 높아집니다.
혼잡한 환경에서의 효과: 여러 기기가 혼재된 환경에서도 네트워크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
단점:
저속 기기의 연결 품질 저하: 속도가 느린 기기들은 할당된 시간이 제한되기 때문에 충분히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신호가 약한 기기나 거리가 먼 기기는 연결이 자주 끊기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.
거리가 먼 기기에 불리함: AP(Access Point)와 멀리 떨어진 기기들은 속도와 신호 강도가 약해지는데, Airtime Fairness가 활성화되면 이런 기기들은 할당된 시간이 줄어 안정적인 연결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
실시간 서비스에 부정적 영향: 화상 회의, 비디오 스트리밍, 게임 등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는 서비스의 경우, Airtime Fairness에 의해 연결이 지연되거나 끊길 가능성이 커집니다. 특히 저속 기기들은 실시간 성능 저하가 눈에 띌 수 있습니다.
모든 기기에 적합하지 않음: Airtime Fairness는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고성능 기기에 효과적이지만, 구형 기기나 단일 대역 기기(주로 2.4GHz만 지원하는 기기)에서는 오히려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.
관리 복잡성 증가: 네트워크 환경과 기기 성능에 따라 Airtime Fairness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추가적인 관리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비공평한 자원 배분 가능성: 빠른 속도의 기기들에게 더 유리하게 작용하여, 구형 기기나 저속 기기가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수 있습니다. 이는 네트워크에서 특정 기기들이 소외감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.
Airtime Fairness는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이고, 빠른 기기들이 더 원활한 네트워크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지만, 느리거나 오래된 기기들에는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.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Airtime Fairness 설정을 조정하여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